카카오페이의 DAU는 어떻게 성장했나
카카오페이는 종합핀테크 서비스입니다. 2014년 9월 출시해 결제, 송금, 멤버십, 청구서, 인증 등을 제공하고 제공하고 있습니다. 비밀번호만 입력하면 결제되는 ‘간편결제’와 빠르게 무제한 무료 송금되는 ‘간편송금’ 서비스를 바탕으로 대표적인 핀테크 서비스로 발돋움 하였습니다. 실적은 두말하기 아프고, 카카오 페이 오프라인 결제 가맹점이 3달만에 8만개를 돌파한 카카오프렌즈 ‘컨텐츠’의 힘, ‘카카오톡’이라는 강력한 플랫폼의 힘을 다시 한 번 느껴보시죠!
[주요 서비스 리뷰]
이번 서비스 리뷰에서는 이미 익히 들 알고 있는 카카오페이 온라인 결제는 제외하고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송금, 오프라인 결제, 플랫폼 UX에 대해서 리뷰 드립니다.
#1. 송금(17년 6월 출시)
- 수수료 : 출시 당시 토스의 5회 제한과 달리 무제한 무료송금으로 초기 서비스이용자 확보(현재는 1회 송금 한도 199만원 / 10회한 수수료 0원)
- 거래 액 : 연간 20조원으로 토스의 18조원 추월 (18년기준)
- 이용자 : 연간 1억3천만명이용하며 토스 4천만의 3배 이상 (18년기준)
☞ 출시 후 20개월간 무제한 무료송금정책으로 ‘송금은 토스’라는 명제를 깨는데 성공
“The Winners Take it all”, 토스의 서비스를 그대로 혹은 더 쉽게 구현하여 고객이 친숙한 플랫폼에서 모든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구성
#2. 카카오페이 오프라인 결제
- QR코드 결제 키트 배포, SNS 자체 바이럴로 당초 가맹 목표 2만개를 3개월만에 8만개로 초과달성
☞ 카카오페이 QR결제 키트라는 ‘컨텐츠’를 통해 가맹점주들이 직접 홍보하고 인증할 수 있어 소비자도, 판매자에게도 바이럴 효과가 빠르게 확산
#3. 플랫폼 UX
- 국내 모바일 메신저 점유율 94.4%의 카카오톡의 GNB영역에 카카오페이 영역 배치
- 캐시노트, 카카오페이 사례와 같이 초대형 플랫폼에 서비스를 얹어 유통하는 방식*의 유행
*위챗의 위챗페이가 동일한 방식으로 6억명 고객 확보
☞ 초대형 플랫폼을 활용한 Mass marketing communication 방식에 대한 이해 빠르게 적용
[벤치마킹 포인트]
1. 킬러 컨텐츠를 통한 플랫폼 속성 확보
- ‘송금은 토스’에서 무제한 송금 수수료 무료 정책으로 ‘송금은 카카오페이’ 서비스 컬러 확보- 종합 핀테크 서비스의 첫걸음은 플랫폼을 견인할 킬러 컨텐츠
2. 캐릭터와 같은 시장친화적인 컨텐츠
- 카카오페이, 카카오뱅크 – 카카오프렌즈, 우리은행 – 위비 등 캐릭터를 통한 친숙함 유도
3. 초대형 플랫폼을 활용한 Mass marketing communication
- 카카오톡, 네이버페이와 같은 초대형 플랫폼에서의 상품 사용자 경험 확대
ex) 카카오페이 투자 상품, 네이버페이 환급 투자상품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