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벅스
-
디자인은 페르소나를 투영한다브랜드/브랜딩이란 2020. 12. 31. 10:45
우선, 현대카드는 금융회사면서 자꾸 디자인을 이야기를 할까? 맞는말이다 그런데, 잘 살펴보면 당연한 일이다. 이제 우리시대에는 모두들 글대신 사진으로 자신을 표현하고 있고, 인스타그램 유튜브와 같은 영상, 비주얼 컨텐츠가 책과 글을 대신하고 있다. 그렇기에 마케팅을 하는 사람이든, 브랜딩을 하는 사람이든 더이상 시각, 디자인의 것을 남의 일로 치부할 수 없는 세상이다. 01 마케팅의 핵, 디자인 디자인을 하고 싶어도 잘 못하는 회사도 많다. 간단하게 은행만 가더라도, 디지털한다고 대대적으로 홍보해놓고 은행 외관부터 신청 프로세스까지 디지털 최적화된 디자인이 전혀 와닿지 않는다. 창구에서부터 시각적으로 표현하는데 실패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디자인 과몰입 또한 문제다. 병원에 갔는데 인테리어가 너무 아기자..
-
1등의 서비스를 돕거나 혹은 보완하거나인사이트 스토리/모바일 인사이트 2020. 12. 29. 00:33
이번엔 스타벅스의 모바일 서비스를 분석하면서 스타벅스는 커피만큼 IT기술자산화에도 정말 노력을 많이 한다는 인상을 받았습니다. 그런데도 중국에서는 ‘루이싱’이라는 서비스가 이미 스타벅스를 꺾고 1위 서비스가 되어 콧대 높던 스타벅스도 배달을 시작했다고 할 만큼 1위 기업을 지키기란 여전히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많은 2등기업들은 1등기업이 약점을 파고들어 자신만의 비즈니스를 구축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오늘은 스타벅스의 전략을 비틀어 2등이 된 이디야를 비롯해 1등을 비틀어 탄생한 비즈니스들에 대해 소개 드립니다. 가장 먼저 소개드릴 기업은 이디야입니다. 이디야하면 착한 기업으로 유명하죠? 이디야가 2등하는데 가장 큰 전략이 입지선정에 있어서 스타벅스의 큰 도움을 받았다고 하죠. 스타벅스 매장은 모두 본사..
-
스타벅스는 어떻게 충성고객을 만들었나인사이트 스토리/모바일 인사이트 2020. 12. 29. 00:28
스타벅스는 글로벌 핀테크 기업 중 가장 많은 선수금을 가진 회사로 유명하죠. 단순히 커피를 팔던 기업에서 테크기반의 금융회사로 발돋움 중인 스타벅스는 선불카드 충전액이 미국 본사만 1조 4천억이라고 합니다. 국내 누적 선수금만 940억에 육박하는 스타벅스코리아의 모바일 서비스를 통해 스타벅스의 인사이트를 한 번 들여다 볼까요? #1. 멤버십 서비스 - 등급제 : 이용빈도, 충성도에 따라 Welcome, Green, Gold 레벨로 구분 혜택 부여 - 차별화된 혜택 : 등급 업그레이드 단순화(가입, 5잔, 30잔) / 레벨 업 허들 낮추기(웰컴음료, BOGO쿠폰, HBD쿠폰, 별12개마다 무료) ☞ 스타벅스 멤버십과 비멤버십간 철저하게 차별화된 혜택 구성으로 가입 유도, 멤버십 내 레벨 업·유지에서 발생하..
-
스타벅스답지 못한 스타벅스 마케팅브랜드/실제 브랜딩 사례 2020. 12. 27. 16:02
브랜드라는것은 어디서 유래했을까. 브랜드(Brand)의 어원은 “불에 달구어 지진다”, “화인(火印)하다”라는 뜻으로 사용된 노르웨이 고어 ‘brandr'에서 유래되었다. 사전에서는 “브랜드는 제조업자가 제품의 품질을 증명하고 고유권을 나타내기 위하여 불에 달구어진 쇠붙이로 인두질하여 만들어 낸 표(標)이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출처 한국브랜드경영협회 - 불로 낙인을 찍는 행위에서 비롯된 브랜드는 이를 사용하는 모든 이들에게 소속감과 연대감을 부여한다. 그런의미에서 스타벅스 브랜드가 갖고있는 의미는 매우 재미있게 이동해왔다. 스타벅스가 2000년대 후반까지만해도 가졌던 이미지는 허영 그자체였다. 당시 학생식당의 백반이 2~3천원대였음에도 커피는 이에 배에 달하는 스타벅스 커피를 마시는 모습을 보고 '된..